chapter 2 X 윈도우와 데스크톱 환경
1. X 윈도우 소개
- 유닉스/리눅수 운영체제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
- 1984년에 MIT를 중심으로 개발됨
- 현재까지 유닉스/리눅스의 표준 윈도우 시스템으로 사용됨
1) 특징
- 뛰어난 이식성 : 거의 모든 유닉스/리눅스에서 동작함
- 클라이언트/서버 구조
- 장치의 독립성 :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하지 않음
- 네트워크 투명성
2) 구조
- 기본 윈도우 시스템과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구성됨
- 하나의 X 서버(디스플레이)와 여러개의 X 클라이언트(응용 프로그램)들로 구성됨
3) X 윈도우 시작
- 텍스트 모드로 로그인 : $startx, $xinit
- 그래픽 로그인 박스
2. 윈도우 관리자
-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데스크톱 상의 윈도우들을 운영 관리하는 소프트웨어
- 데스크톱 환경 : 윈도우 관리자에 여러 유틸리티를 묶어 패키지화 한 것으로 여러 기능을 제공
3. GNOME
- GNU에서 개발한 데스크톱 환경
- 사용자가 X 윈도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한 데스크톱 환경
- 바탕화면과 2개의 패널로 구성된다.(위 아래)
> 요소 : 바탕화면, 패널, 메인 메뉴, gedit, 위치메뉴, 피알 관리자, 설정
4. 유니티
- 우분투 리눅스에 기본으로 탑재된 데스크톱 환경
- 바탕화면과 왼쪽바의 실행 아이콘들 그리고 상단의 패널로 구성된다.
> 요소 : 바탕화면, 우분투 아이콘, 파일관리자, 설정
[ 연습 문제 ]
2.1
③
2.2
X 서버, X 클라이언트, X 서버, X 클라이언트
2.3
하나의 X 서버와 여러개의 X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.
2.4
실제 데스크톱은 하나뿐이지만 소프트웨어 적으로 여러 개의 데스크톱을 제공하는 데 이를 가상 데스크톱이라고 함.
2.5
유니티의 글로벌 메뉴는 현재 선택 된 창의 메뉴를 상단 패널에 표시하지만, GNOME의 메뉴는 각 창별로 메뉴를 표시하는 로컬 메뉴 방식을 사용한다.
2.6, 2.7
-생략-